밤에 잠들지 못하는 여러분, 스트레스성 불면증 공황장애
불면증 현대 사회인들이 가장 많이 겪는 일중 하나죠.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거나 큰 걱정이 생겼을 때 잠들지 못하고 수면부족으로 인해서 몸이 힘들어도 잠들지 못하면 스트레스성 불면증일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이 스트레스성 불면증을 방치해두면 추후 공황장애도 생길 수 있으며 개인의 성격에 따라서 만성질환으로까지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은 스트레스성 불면증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교감신경이 향진될때 자주 나가는데 특히 신체에서도 반응이 나타나며 이런 현상들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속이 더부룩해지는 거와 동시에 답답하며 가스가 많이 차는 현상도 동반되고 하니 신체에서 일어나는 특징도 잘 확인해나가는 것도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또한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며 쉽게 짜증이 나고 예민해지면서 피곤해지며 뒷목이 땡기거나 눈가가 충혈될 수도 있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현상도 일어납니다.
계속 방치해뒀다가는 공황장애와 더불어 우울증까지 올 수 있습니다.
양의학적으로는 심리상담과 약을 복용하는거와 더불어서 정신적인 상담도 아주 중요한 요소로 뽑히고 있으며 한의학적으로는 교감신경이 향상된 상태를 이완시켜주는 약재들을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복령, 치자, 황련 등의 약재.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것도 심리적으로 좋다고 하는데 이는 각 사람마다 다르니 그냥 참고하는 용도로만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밤에 잠을 자지 못한다고 강박증과 같이 시간을 정해두는 식으로 잘려고 집착하면 오히려 더 악화시킬 가능성도 있습니다.
스트레스로 인해서 불면증이 생긴 상황인데 오히려 잠을 자기 위해서 또 자신도 모르게 잠에 대해서 집착하게 되면은 더욱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오히려 기존에 있던 스트레스로 인해 불면증이 생긴것보다 잠에 대해서 압박감을 느끼고 더 큰 스트레스를 받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이에 대해 고민과 걱정하지 않고 시간이 흘러 고민거리가 해결되는 상황이 오는 방법밖에 없고, 그것이 불가능 해질 경우 무조건 약물 치료와 심리적인 상담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스트레스성 공황장애 많은 현대인들이 스트레스성 공황장애를 겪고 있습니다. 최근 유명한 스타들 사이에서는 이를 연예인병으로도 불리는 공황장애는 예상하지 못한 상황속에서 갑자기 발작 증상이 나타나는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호흡곤란 증상도 나타날뿐더러 다양한 인지적 증상이 나타나는 병이다.
공황장애는 욉부에서 정보가 들어올 때 뇌에서 다양한 이유로 너무 예만 하거나 불안하게 받아들임으로써 신체에서 불안정한 반응을 보이는 병을 공황장애라고 하며 신경전달물질의 이상과 각각 뇌 다양한 부위에서 자극이 나타난다고 한다. 쉽게 이야기하면 과한 자극으로 뇌에서 정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과한 반응을 보이는 것이라고 한다.
공황장애는 크게 3단계로 나뉜다. 첫번째로는 일상생활 중에서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발작이 첫 번째 단계다. 발작 빈도와 신체에서의 이상증세가 추가되는 두 번째 단계는 공황발작이 일어나면 특정 장소를 회피하는 증세를 보인다. 예를 들면 대중교통 및 지하철 비행기, 엘리베이터 등 본인이 마음대로 정지하거나 탈출하지 못하는 장소에서 그런 증세를 겪게 되며 밀폐된 장소도 위험한 장소로 꼽힌다.
성인에게 하루 권장되는 수면 시간은 7-9시간이다. 그러나 한국인의 평균 수면시간은 6시간24분으로 OECD 국가 평균 수면시간인 8시간 22분에 비해서 2시간가량이나 적다. OECD 회원국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으나 이 조차도 사치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유지하는 법만이 이러한 공황장애나 불면증을 예방할 수 있다.